브뉴스
즐거움이 있는 곳

정부, 중국산 요소 수입 차질에 따른 국내 영향 제한적으로 전망

Last Updated :

요소 수출 중단, 다시 제한 조치

올해 4월 중순까지 요소 수출을 중단했던 중국이 두 달 가량 지난 이달 들어 돌연 다시 수출길을 막았다.


정부의 대응

정부는 중국에서 요소의 수출 통관이 지연되고 있다는 사실을 지난 6.7일 인지하고, 관계부처 및 요소관련 기업이 참가하는 합동 점검회의를 개최하여 관련동향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해 왔습니다.

  • 6.10(월) 기재부 주관 상황점검회의 개최, 외교부·산업부·환경부·조달청·관세청 참석
  • 6.11(화) 관계부처 합동 요소기업 간담회 개최(산업부 주관)

정부는 앞으로도 국내 차량용 요소수 수급상황 및 제3국 요소 수입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하는 한편, 중국 정부와 원활한 요소 도입방안을 협의하는 등 요소 수입 및 유통 등이 차질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나가겠습니다. 문의 : 기획재정부 경제안보공급망기획단 공급망정책지원팀(044-215-7885), 산업통상자원부 화학산업팀(044-203-4930), 환경부 교통환경과(044-201-6920), 외교부 동아시아경제외교과(02-2100-7675), 조달청 전략비축물자과(042-724-7183)

수입 다각화로 대체수입선 확보

중국의 요소수출 제한조치 이후 우리 기업들은 베트남·중동 등 대체수입선을 이미 확보해 충분한 물량을 도입 중에 있으며, 현재 국내 요소 수입 중 중국산의 비중이 낮아 이로 인해 중국의 수출 제한에도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하다고 판단됩니다.

24.1~5월 산업용·차량용 요소수입 비중(%, 중량기준) 베트남 중국 카타르
63 13 12

지난해 11월말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당시에도 대체수입선을 가동하여, 확보물량을 1달 만에 1.5배 이상 확대하였으며, 현재 기업 및 공공비축 등을 합쳐 3개월분 이상의 차량용 요소가 확보되어 있어 국내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됩니다.

정책브리핑의 정책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며,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및 제138조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정부, 중국산 요소 수입 차질에 따른 국내 영향 제한적으로 전망 | 브뉴스 : https://bnews.kr/post/ba31eab1/3358
즐거움이 있는 곳
브뉴스 © bnews.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