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뉴스
즐거움이 있는 곳

적극행정 베스트 5, 에너지바우처 직접 전달!

Last Updated :

에너지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새로운 방안

최근 에너지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바우처 제도의 개선이 크게 주목받고 있습니다. 에너지바우처는 냉·난방 연료 구입비용을 지원하는 제도로, 노인이나 장애인과 같은 거동이 불편한 분들이 직접 주민센터를 방문해야만 수령이 가능합니다. 이로 인해, 많은 수혜자들이 바우처를 수령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새로운 사업 추진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이 사업은 집배원이 직접 미수령가구를 방문하여 바우처와 제도 안내문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런 방식의 도입으로 에너지 바우처 미수령 가구 중 867곳에 성공적으로 바우처를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에너지 복지 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첫걸음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적극행정 우수사례 베스트 5 발표

국무조정실은 지난 6월 47개 중앙부처의 적극행정 우수사례를 국민 투표를 통해 선정했습니다. 유권자들이 선택한 '적극행정 우수사례 베스트 5'에는 에너지 바우처를 지급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번 투표에서는 시민들의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례가 많은 관심을 받았습니다. 특히 1위로 선정된 에너지바우처 전달 방식은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배려가 돋보이면서도 효율적입니다. 이외에도 AI 활용 긴급해양구조신호 자동식별 시스템 개발과 전력선 주변 산불 위험목 제거 등이 주목받았습니다.


  • 에너지 바우처 미수령 가구를 위한 집배원 방문 서비스
  • AI를 활용한 긴급 해양 구조신호 식별 시스템
  • 전력선 주변 산불 위험목 제거 방안
  • 희귀 질환 환자의 자가 치료를 위한 개선된 수입절차
  • 사회서비스 전자 바우처 검색 및 예약 가능 기능

AI 활용 긴급 해양 구조신호 자동식별 시스템

AI 활용 해양 구조신호 자동 식별 시스템
긴급 구조 신호 인지 사각지대 해결
해양 안전 인력 부족 시스템 개발
데이터 활용 해외특허 R&D 해외진출

AI 활용 긴급해양구조신호 자동식별 시스템 개발은 해양 구조신호를 24시간 청취해야 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여 인공지능이 자동으로 구조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이는 기존 인력으로 작업했던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 시스템은 해양안전성과 구조신호 인지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는 이와 같은 혁신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해양 구조 분야의 안전을 더욱 강화할 계획입니다.

전력선 주변 산불 위험목 제거

산림청의 최승호 주무관은 전력선 주변의 산불 위험목 제거를 위해 여러 중앙부처 및 지자체와 협력하여 총 2161본의 위험목을 제거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전력선 주변의 수목 관리 문제는 이미 제기된 바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예산 확보가 절실했습니다. 한국전력공사는 관리할 예산이 부족해 위험목 제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중앙부처의 협력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여, 앞으로의 산불 예방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정부의 적극행정 지원 계획

정부는 앞으로도 이러한 적극행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및 독려 정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국민의 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들은 실질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접수된 국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보다 나은 정책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정부의 목표입니다. 향후 정부는 국민의 목소리를 듣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적극행정 베스트 5, 에너지바우처 직접 전달!
적극행정 베스트 5, 에너지바우처 직접 전달! | 브뉴스 : https://bnews.kr/post/ba31eab1/8722
즐거움이 있는 곳
브뉴스 © bnews.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