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고 60곳, 신산업 분야로의 대규모 개편 계획 발표
교육부의 561억 원 투입, 2024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 사업
교육부가 11일 발표한 '2024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지원 사업'에서 반도체·인공지능(AI)·소프트웨어(SW) 등 신산업·신기술 분야로 학과를 개편하기로 결정하고 총 561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해당 사업은 직업계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직업계고 학과 개편을 지원하는 것으로, 올해는 신산업·신기술 분야로의 재구조화를 적극 유도하고 학교의 변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체계를 강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교육부는 총 86개 학과 중 42개의 학과를 신산업·신기술 분야로 개편했다고 밝혔습니다.
2024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유형별 선정 결과(학과)
이번에 선정된 학과들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예산을 교부받아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과 교원 역량 개발을 위한 연수 실시 및 관련 실습 환경 개선을 수행할 예정이며, 학과 개편 학급당 3억 7500만 원의 보통교부금과 소단위(마이크로) 교육과정당 4억 원의 특별교부금을 지원받을 예정입니다. 또한 교육부는 신산업·신기술 분야로의 재구조화 개편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선정된 학과(과정)를 대상으로 산업계와 연계한 자문(컨설팅)을 지원할 예정이며, 교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현장 연수 및 기업·연구소 등 현장 탐방 기회를 확대하고, 학과 개편을 추진하는 학교의 교원 간 교류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한편, 이번에 재구조화되는 학과와 과정은 2026년부터 운영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2024년 직업계고 재구조화 유형별 선정 결과(학과)
학과 개편종류 | 보통교부금 | 특별교부금 |
신산업·신기술 분야 | 3억 7500만 원 | 4억 원 |
과정별 교육과정 | 3억 7500만 원 | 4억 원 |
금융·IT 직업계고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
2024년 금융·IT 직업계고 인재 채용 설명회에서 나온 최창익 평생직업교육정책관의 말에 따르면, 직업교육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구조 및 직무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직업계고가 산업 수요에 맞춰 적시에 교육과정을 개편해 산업현장에서 환영받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 기관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신산업·신기술 분야로의 재구조화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현장 연수 및 기업·연구소 등 현장 탐방 기회를 확대하고, 학과 개편을 추진하는 학교의 교원 간 교류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자료 출처
정책브리핑의 정책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으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합니다. 위반 시 저작권법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위의 내용은 교육부가 2024년 직업계고 학과를 재구조화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