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민간 4톤급 열진공 챔버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대형 열진공시설 구축 소식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1일 사천 본사 우주센터에 위성체 시험용 대형 열진공시설을 구축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그동안 항공우주연구원(KARI)에만 있던 대형 열진공챔버가 민간 기업에 설치된 첫 사례로, 시설은 지름 5.7m, 길이 6m 크기로 국내 두 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KAI는 이번 시설 구축으로 초소형 위성부터 대형위성까지 우주환경시험이 가능한 독보적인 우주사업 인프라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초소형 SAR위성 대량생산을 위한 동시 시험 체계기반을 마련해 우주산업의 획기적 발전을 이끌지로 기대됩니다.
대형 열진공챔버의 활용
KAI의 대형 열진공챔버는 3.5~4톤급 대형위성까지의 우주환경시험을 비롯하여 초소형 SAR위성의 대량생산을 위한 동시 시험 체계기반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우주사업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우주산업을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주센터의 미래 계획
열진공챔버 시설 | 환경시험 | 우주산업 상생 |
위성개발 스타트업 지원 | 대학교 연구 지원 | 우주산업 생태계 강화 |
역량 확보를 위한 투자 확대 | 우주환경시험 인프라 보유 | 우주산업 선도 |
향후 전자파시험 시설 추가 계획 | One Site에서의 전체 프로세스 완비 | 독자적 역량 확보 |
KAI는 우주센터를 통해 위성개발 스타트업 및 대학교 등에서도 활용 가능하도록 열진공챔버 시설을 개방함으로써 우주산업 상생과 생태계 강화에 적극적으로 기여할 계획입니다. 또한, 독자적 역량 확보를 위한 투자를 지속 확대할 예정이며,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이하여 우주산업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미래전망
한국항공우주산업(KAI)는 정부 주도의 기술 발전이 민간 주도로 전환되는 뉴스페이스 시대를 맞이하여 독자적인 역량 확보를 위한 투자를 계속 확대할 예정입니다. 또한, 열진공챔버 시설을 위성개발 스타트업 및 대학교 등에서 활용 가능하도록함으로써 우주산업 상생과 생태계 강화에도 적극적으로 앞장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출처: 더팩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