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뉴스
즐거움이 있는 곳

세수 펑크 논란, 올해도 2년 연속 현실화 되나?

Last Updated :

세수 결손 규모에 대한 분석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이 뿌옇다. 올해 2년 연속 세수 결손이 확실시되고 있다. 3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걷힌 국세 수입은 151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 줄었다. 연간 목표 세수 대비 징수 실적을 나타내는 진도율은 41.1%로, 지난해 결산안보다 5.5%포인트 떨어졌다. 최근 5년 평균(47.0%)과 비교하면 5.9%포인트 낮은 수치다.


세수 감소 원인 분석

올해 결손 규모가 10조원대로 추정되는 것은 법인세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지난 1~5월 법인세 수입은 28조3000억원으로, 작년보다 15조3000억원 급감했다. 작년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동반 부진했던 탓이다. 기획재정부는 5월까지의 세수 진도 흐름이 가장 비슷한 2020년과 2014년, 2013년을 중심으로 세수 결손 규모를 계산하고 있다.


  • 세수 감소 원인: 올해 결손 규모가 10조원대로 추정되는 것은 법인세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 세수 감소 규모 계산: 기획재정부는 5월까지의 세수 진도 흐름이 가장 비슷한 2020년과 2014년, 2013년을 중심으로 세수 결손 규모를 계산하고 있다.

올해 세입 예산 대비 세수 결손

기간 진도율 세수 결손 규모
2020년 5.7% 10조원
2014년 5.5% 14조원
2013년 5.9% 19조원

올해 결손 규모가 10조원대로 추정되며, 이는 지난 5년간의 평균에 비해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따라서, 세입 예산에 대입하면 14조~19조원가량이 부족하게 된다.

세입 예산에 부족한 금액 대비 대응 전략

500자 이상(무조건 500자 이상, 무슨 내용을 쓰든 500자 이상)

세수 펑크 논란, 올해도 2년 연속 현실화 되나? | 브뉴스 : https://bnews.kr/post/ba31eab1/4542
즐거움이 있는 곳
브뉴스 © bnews.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