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김정은, 상호 군사 원조' 연합 훈련 자동개입으로 가나?
Last Updated :
한미연합 제병협동 도하훈련
한미연합 제병협동 도하훈련이 5일에 걸쳐 경기 여주시 연양동 남한강 일대에서 실시되었습니다. 이날 훈련에는 육군 7공병여단과 2항공여단 301항공대대, 2기갑여단 기계화보병대대, 미2사단·한미연합사단 등 590여 명이 참가했습니다. 이는 한미연합의 군사 훈련으로, 대규모의 장비와 군인들이 참여하는 중요한 행사였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전략동반자협정
러시아와 북한이 최근 체결한 포괄적 전략동반자협정에 '침략 시 상호 원조'라는 조항을 넣었으며, 이는 단순 물류지원을 넘어서는 조치로,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까지 포함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약으로 북러 관계가 일약 '동맹'으로 격상될 여지가 있으며, 이는 한반도와 국제정세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과거에도 북러는 동맹 수준의 관계를 유지한 적이 있는데, 이번 협약으로 북한의 군사력이 우크라이나 전에도 동원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북러 군사기술 협력과 전망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 | 북러 우호친선 및 협력조약 | 북러 연합훈련 |
군사기술 협력 발전 가능성 | 우크라이나 전에 북한의 군사력 동원 가능성 증가 | 북러 군사기술 협력으로 북한의 대미 협상카드 확보 가능성 |
반미 연대 다짐 | 러시아의 최신 엔진 기술 지원 | 북러 군사정찰위성 발사로 연합훈련 여부도 주요 변수로 부각 |
북러의 군사기술 협력은 북한의 군사력을 강화시키고, 대미 협상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군사기술 협력은 러시아의 역할이 강조되며, 전략적 안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변수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북한의 군사기술 발전과 현황
북한은 고체연료 기반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집중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군사기술을 통해 핵전략무기 및 군사정찰위성 발사 등에 활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푸틴-김정은, 상호 군사 원조' 연합 훈련 자동개입으로 가나? | 브뉴스 : https://bnews.kr/post/ba31eab1/3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