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뉴스
즐거움이 있는 곳

12-17세 아동 0-5세 인구를 0.7배 앞선 역전 현상

Last Updated :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 발표

과거 대비 12~17세 아동비율이 증가했고, 인구 피라미드 역전현상 확인

  • 고위험군 중심으로 아동정책 수요 증가
  • 아동 발달 지표는 양반적 개선과 부정적 관측치 혼재
  • 사교육 이용 비용과 비율 상승
  • 다양화되는 아동 진로 계획과 진보된 가족·친구 관계
  • 전자기기 사용 증가와 놀 권리 제한 현상 지속

아동 발달 및 교육

아동의 발달(0~5세)은 안정적으로 개선되었으나, 부모의 인식 및 양육 환경에 따른 차이 현저

측정 항목 2018년 평균 점수 2023년 평균 점수
인지발달(0~5세) 2.23점 2.46점
언어발달(0~5세) 2.25점 2.4점

아동 발달 점수는 3점 만점으로, 2018년보다 안정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사교육 이용 현황

9~17세 아동의 영어와 수학 과목에서의 사교육 경험 비율 감소

수학과 영어의 경우 주당 평균 4시간 이상의 공부시간 증가, 영어는 주말 사용시간 감소

가족·친구 관계

가족 및 친구 관계는 개선되고 있지만 외부 지원 요청 현황은 위축됨

주양육자의 양육 문제 합의 및 주된 돌봄자는 여전히 부모님인 것으로 조사됨

온라인 활동 및 아동의 권리 인식

전반적으로 아동의 온라인 활동과 권리에 대한 인식은 개선되고 있지만 놀 권리에 제약이 나타났음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대한 아동 및 양육자의 인식은 일정 수준 개선되었으나 일부 감소한 부분도 있음

건강 및 정신건강

아동의 신체 활동은 개선되고 있는 반면 정신건강 고위험군은 오히려 증가

아동의 고강도 운동 실천율은 48.1%로 개선되었지만 수면시간은 감소, 앉아있는 시간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

아동정책 수요 및 삶의 만족도

다양한 영역에서의 아동정책 수요 증가 및 삶의 만족도는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아동의 건강상태 개선과 놀 권리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확인됨

정책개선으로 아동의 삶과 안전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임을 제시


  • 구글
  • seo
  • 구글
  • seo
  • 구글

아동종합실태조사 결과 발표

  • 고위험군 중심으로 아동정책 수요 증가
  • 아동 발달 지표는 양반적 개선과 부정적 관측치 혼재
  • 사교육 이용 비용과 비율 상승
  • 다양화되는 아동 진로 계획과 진보된 가족·친구 관계
  • 전자기기 사용 증가와 놀 권리 제한 현상 지속

아동 발달 및 교육

아동의 발달(0~5세)은 안정적으로 개선되었으나, 부모의 인식 및 양육 환경에 따른 차이 현저

측정 항목 2018년 평균 점수 2023년 평균 점수
인지발달(0~5세) 2.23점 2.46점
언어발달(0~5세) 2.25점 2.4점

아동 발달 점수는 3점 만점으로, 2018년보다 안정적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사교육 이용 현황

9~17세 아동의 영어와 수학 과목에서의 사교육 경험 비율 감소

수학과 영어의 경우 주당 평균 4시간 이상의 공부시간 증가, 영어는 주말 사용시간 감소

가족·친구 관계

가족 및 친구 관계는 개선되고 있지만 외부 지원 요청 현황은 위축됨

주양육자의 양육 문제 합의 및 주된 돌봄자는 여전히 부모님인 것으로 조사됨

온라인 활동 및 아동의 권리 인식

전반적으로 아동의 온라인 활동과 권리에 대한 인식은 개선되고 있지만 놀 권리에 제약이 나타났음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대한 아동 및 양육자의 인식은 일정 수준 개선되었으나 일부 감소한 부분도 있음

건강 및 정신건강

아동의 신체 활동은 개선되고 있는 반면 정신건강 고위험군은 오히려 증가

아동의 고강도 운동 실천율은 48.1%로 개선되었지만 수면시간은 감소, 앉아있는 시간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됨

아동정책 수요 및 삶의 만족도

다양한 영역에서의 아동정책 수요 증가 및 삶의 만족도는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아동의 건강상태 개선과 놀 권리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확인됨

정책개선으로 아동의 삶과 안전을 높이는 것이 필수적임을 제시

12-17세 아동 0-5세 인구를 0.7배 앞선 역전 현상 | 브뉴스 : https://bnews.kr/post/ba31eab1/2249
즐거움이 있는 곳
브뉴스 © bnews.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