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대북 방문 전 마련된 전략 파트너와 논의
Last Updated :
탐방: 윤석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과 북한, 러시아 관련 동향
한-카자흐스탄 양해각서 서명식 및 공동언론발표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과 카슴-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의 순방 중 고위 관계자들은 플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방문 가능성을 밝히고 있다.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 전망
현재 윤석열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 중인 가운데,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이 다가오고 있으며, 한국과 중국의 외교안보 전략대화와 관련하여 주요 우방국들과의 순방을 이어가고 있다.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의 의미
북한 방문 24년 만에 | 러시아-북한 군사협력 강화 전망 | 전략 파트너들과의 공조 강조 |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은 24년 만에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러시아-북한 군사협력이 강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략 파트너들과의 공조가 더욱 중요해졌다. | 상대국들과의 합의와 규탄 | 비핵화와 유엔 결의 준수 강조 |
윤 대통령이 상대국 정상과 북한의 핵개발을 규탄하고, 투르크메니스탄과 카자흐스탄과의 공동성명에 양측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는 의견을 강조했다. | 카자흐스탄의 안보 입장에 대한 호평 | 투르크메니스탄의 한국 안보 입장에 강력한 지지 |
카자흐스탄은 북한의 불법적인 핵․미사일 개발과 도발 행위를 결코 용인하지 않겠다는 확고한 입장을 표명하며, 투르크메니스탄은 북한의 비핵화와 유엔 결의 준수를 강조하면서 한국의 안보 입장에 대해서 강력한 지지를 보내왔다. | 우즈베키스탄과의 정상회담을 통한 북한 비핵화 관련 논의 |
더불어, 마지막 순방국인 우즈베키스탄과의 정상회담에서도 북한 비핵화 관련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의 북한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포인트 짚어보기
러시아 푸틴 대통령의 북한 방문을 전망하고 있는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한 한국의 노력과 주변 국가들의 입장이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순방을 통해 국제사회와의 확고한 대북 공조 태세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합니다.
더팩트 뉴스에 대한 참고사항
더팩트 뉴스는 24시간 동안 제보를 받고 있으며, 제보하기 위해서는 카카오톡 '더팩트제보'를 검색하거나 이메일 [email protected] 로 연락하거나 뉴스 홈페이지인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에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푸틴, 대북 방문 전 마련된 전략 파트너와 논의 | 브뉴스 : https://bnews.kr/post/ba31eab1/2808
즐거움이 있는 곳
브뉴스 © bnews.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