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환자 6월부터 맞춤형 통합관리 시행으로 진단부터 완치까지
Last Updated :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
6월 1일부터, 질병관리청은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 시행을 통해 결핵환자의 치료성공률을 향상시키고, 고위험 다제내성결핵환자를 집중관리하여 치료 중단 없이 결핵을 완치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결핵 환자 관리 정책
- 결핵환자는 고령·사회경제적 문제 등의 다양한 이유로 치료를 중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국내 결핵 치료성공률이 향상되지 못하고 있다.
- 결핵 완치를 위해 감수성결핵의 경우 6개월, 다제내성결핵은 6~20개월 동안 적절한 항결핵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하며, 치료 중 항결핵제를 임의 중단하는 경우 재발하거나 내성이 생겨 다제내성결핵으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완료 때까지 지속적인 약제 복용이 매우 중요하다.
- 결핵환자가 사회경제적 문제, 질병인식의 부족 등으로 치료를 중단하지 않고 완료할 수 있도록 한다.
통합관리 사업 시행
약제감수성검사 | 치료순응도 평가 | 사회복지서비스 연계 |
환자별 취약성평가 | 전문의료기관 안내 | 전문치료관리 지원 |
다제내성결핵 컨소시엄 | 사례관리회의 | 약제구성 컨설팅 |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 사업은 진단부터 치료종료까지 통합해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모든 결핵환자가 성공적으로 결핵을 완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치료성공률을 향상시키고, 성공적인 관리를 위해 민간·공공협력 결핵관리사업 참여의료기관과 보건소가 협력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장 지영미 발언
질병관리청장은 의료기관과 보건소가 함께 결핵환자의 임상적·사회경제적 상태를 파악하고 맞춤형 환자관리로 모든 결핵환자가 성공적으로 결핵을 완치할 수 있도록 꼼꼼히 지원할 것이라 밝혔다.
문의 : 질병관리청 감염병정책국 결핵정책과(043-719-7325)
정책브리핑의 정책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며, 출처를 표기하지 않을 시에는 저작권법에 따라 처벌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결론
결핵환자 맞춤형 통합관리 사업은 결핵환자의 상황에 맞춰 진단부터 치료종료까지 효과적으로 지원을 제공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국내 결핵 치료성공률을 높이고, 모든 결핵환자가 성공적으로 결핵을 완치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결핵환자 6월부터 맞춤형 통합관리 시행으로 진단부터 완치까지 | 브뉴스 : https://bnews.kr/post/ba31eab1/1913
즐거움이 있는 곳
브뉴스 © bnews.kr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